반응형
목록
간단하고 쉽게/Git (2)
[꼼꼼한 개발자] 꼼코더
🧹 간단 설명git stash 명령어는 ‘임시저장’을 의미(자세한 내용은 아래 참고 👀) 🤔 Git Stash란 무엇인가?git stash 명령어는 Git에서 작업 중인 변경사항들을 임시로 저장할 수 있는 명령어이를 통해 작업 중인 코드를 잃지 않고 다른 브랜치로 안전하게 이동하거나 급한 작업을 처리할 수 있다.✍🏻 Git Stash 사용 예시 - 언제 사용해야 할까? [상황 1] : 'feature/add'라는 브랜치에서 'add 기능 유지보수' 작업 중 새로운 기능을 급하게 추가해야 할 때. 👨🏻🔧 요청자: "마이너스 기능 추가를 해야 해. 무조건 지금, 너무 급해!"🧑🏻💻 개발자: "음... 지금 'add' 기능 수정 중인데... 하긴 기능 추가가 급하긴 하지. 근데 지금까지 ..
👀 gitignore 파일이란? Git으로 관리되는 로컬 저장소에서 특정 파일이나 폴더를 Git이 추적하지 않도록 설정하는 파일이다. 쉽게 말해 "난 이 파일이 깃에 push 하고 싶지 않아" 하는 파일들을 적어놓는 파일이다. 👩🏻💻 예시 만약 커밋하지 않고 싶은 파일 이름이 "application.properties" 라면 .gitignore 파일에 다음과 같이 추가해서 커밋하지 않도록 설정할 수 있다. /application.properties 하지만 이미 깃(git)에 커밋된 이후에 설정을 했다면 .gitignore에 추가하는 것만으로는 해당 파일이 추적되는 것을 멈출 수 없다. 이 경우에는 git rm --cached (파일경로) 명령어를 사용해서 해당 파일을 로컬 저장소에서 삭제하고, 커밋 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