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분류 전체보기 (296)
[꼼꼼한 개발자] 꼼코더
🧹 간단 정리원시값(Primitive): 숫자, 문자열, boolean 등 변경 불가능한 단일 값.객체(Object): 여러 값을 묶어둔 구조.메서드(Method): 객체에 붙어 있는 함수.원시값도 메서드를 사용할 수 있다?! → 예! (하지만 사실은 살짝 속임수…!?)👉 이게 무슨 말인지 아래에서 쉽게 설명하겠다! 📌 원시값(Primitive Value) 이란?원시값(Primitive)은 자바스크립트에서 가장 기본이 되는 데이터 단위속성이나 메서드를 가지지 않으며, 변경(수정)할 수 없는 값(immutable)💎 원시값 종류종류예시number1, 3.14, -100, Infinity, NaNstring'hello', "JavaScript", 템플릿booleantrue, falsenullnul..
🧑🏻💻 소개이 글에서는 자바스크립트 가비지 컬렉션을 원피스 캐릭터에 비유해 정말 쉽게 설명하려고 한다. 참조가 끊기면 메모리에서 사라지는 원리와 Mark & Sweep 알고리즘, 메모리 누수 주의까지 재미있게 풀어보겠다! (마지막 눈물 주의 🥲) 🧠 가비지 컬렉션(Garbage Collection)이란?우리가 생성한 모든 값(변수, 객체, 함수 등)은 메모리에 저장된다.하지만 “더 이상 사용되지 않는 값”들은 불필요하게 메모리를 차지하곤 한다.. 그래서 자바스크립트는 자동으로 메모리를 관리해 주는 기능(가비지 컬렉터)을 가지고 있으며그 가비지 컬렉터가 이를 자동으로 찾아서 삭제(clean up) 해주는 과정(가비지 컬렉션)을 실행한다. 따라서 JS는 C언어처럼 명령어로 직접 메모리를 관리..
🧹 간단 정리JS 엔진: 자바스크립트 코드를 읽고, 해석하고, 실행하는 프로그램싱글 스레드 : 한 번에 하나의 작업만 처리 가능한 개념.Web API : 한 번에 여러 작업이 가능한 비동기 처리 도우미. (브라우저/Node가 제공)예) setTimeout, fetch, DOM 이벤트, Node의 fs, http 등콜스택(Call Stack) : 함수 실행이 쌓이는 스택. 실행 끝나면 빠져나옴.태스크 큐(Task Queue) : 완료된 Web API(비동기)의 속에 있는 콜백 함수가 대기하는 공간이벤트 루프(Event Loop) : (콜스택 비어있음 확인 후) 태스크 큐에서 대기하던 콜백을 꺼내 콜스택으로 전달 위 내용만 봐서는 모르는 게 당연합니다!아래에 정말 정말 재밌고 쉽게 설명했으니 꼭! 확인해 ..
📣 순서 소개코드 스니핏(코드 스니펫)을 간단하게 알아보고실제로 Mac VS code에 코드 스니핏을 만들어 보도록 하겠다!👀 코드 스니핏이란?프로그래밍에서 자주 사용되는 코드의 작은 조각을 의미한다.따라서 코드 스니핏 템플릿을 설정하게 된다면'자주 사용하는 코드를 반복해서 타이핑 하는 불편함을 없애준다'.팀 내 코드 스타일, 사용 패턴을 통일할 수 있다. 🤦🏻♂️ 코드 스니핏 템플릿 필요성개발자 A : “함수 선언마다 'const, function, () ⇒ {}'들을 매번 입력하기 귀찮아! 이 모든걸 쉽게 딸깍하면 짜잔하고 나타났으면 좋겠어!!” ⇒ 그걸 해결해 주기 위한 것이 ‘코드 스니핏’이다. 🏄🏻코드 스니핏 템플릿 사용 흐름 순서 : 1. 코드의 스니핏 ‘단축어’를 정의 > 2..
🚨 Error 발생(GitLab SSH 연결 오류)GitLab에서 프로젝트 clone 도중 This key is not known by any other names.가 확인되었다.번역하면 ‘이 키는 다른 이름으로 알려져 있지 않습니다.’ 쉽게 말해, 연결할 GitLab에서 사용하는 SSH 키가 사용자 쪽에 연결되어 있지 않음을 확인하는 메시지"Are you sure you want to continue connecting (yes/no/[fingerprint])?"→ 당신은 이 서버가 신뢰할 수 있는 서버라 믿고 연결을 계속할 건가? / yes를 눌렀지만 오류가 나왔다…👀 "yes"를 입력하면 어떻게 되는가'yes'를 입력하면 해당 서버의 SSH 키가 로컬 머신에 저장이후부터 동일한 GitLab 서버..
🧹간단 정리CI는 지속적인 통합(Continuous Integration)이라는 의미로 작업한 코드를 주기적으로 빌드 -> 테스트 -> 병합하는 과정CD는 지속적인 제공(Continuous Delivery)과 지속적인 배포(Continuous Deployment)라는 2개의 뜻으로 불림지속적인 제공은 '수동 배포'지속적인 배포는 '자동 배포'결론은 CI를 거쳐 CD가 진행되기에 CI와 CD를 따로 말하지 않고 CI/CD라고 불린다. (아래에서 계속 👀 엄청 쉽게 설명) 🔁 CI/CD란?CI/CD는 애플리케이션 개발부터 배포까지 모든 단계를 자동화하여 효율적이고 빠르게 사용자에게 빈번히 배포할 수 있도록 하는 개념.이는 DevOps 엔지니어의 핵심 업무이기도 하다.👨🏻💻 CI(Continuou..
👀 소개드디어 개발자 취업에 성공했다.이 글에서는 내가 어떻게 개발자 취업을 준비하고, 10개월 차 개발자로 성장했는지 후기를 공유하려고 한다. 💬 인사말 (생존신고)오랜만에 [개발일지]를 작성해 본다. 마지막 일지를 확인해 보니... 헉... 벌써 1년 하고도 1개월이 지났다.(아래 링크참고)물론 '개발일지'만 1년 1개월간 작성하지 않았고 다른 글들은 작성하고 있었다. 제목을 보면 알겠지만..그렇다.. 드디어 취업에 성공했다 🥹 (오늘부로 약 10개월 차가 되어간다)(회사 내용을 pulbic한 공간에 자세하게 적고 싶지는 않으니 이해를 부탁한다!!) 53. [개발일지] - 깊은 학습이 필요하다, 스터디의 시(겉핥기는 그만, 기본기의 중요성)🏄🏻 평온한? 일상 어느 날 수업을 듣던 도중 ..
🧹 간단 설명git stash 명령어는 ‘임시저장’을 의미(자세한 내용은 아래 참고 👀) 🤔 Git Stash란 무엇인가?git stash 명령어는 Git에서 작업 중인 변경사항들을 임시로 저장할 수 있는 명령어이를 통해 작업 중인 코드를 잃지 않고 다른 브랜치로 안전하게 이동하거나 급한 작업을 처리할 수 있다.✍🏻 Git Stash 사용 예시 - 언제 사용해야 할까? [상황 1] : 'feature/add'라는 브랜치에서 'add 기능 유지보수' 작업 중 새로운 기능을 급하게 추가해야 할 때. 👨🏻🔧 요청자: "마이너스 기능 추가를 해야 해. 무조건 지금, 너무 급해!"🧑🏻💻 개발자: "음... 지금 'add' 기능 수정 중인데... 하긴 기능 추가가 급하긴 하지. 근데 지금까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