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Git (6)
[꼼꼼한 개발자] 꼼코더

🧹 간단 설명git stash 명령어는 ‘임시저장’을 의미(자세한 내용은 아래 참고 👀) 🤔 Git Stash란 무엇인가?git stash 명령어는 Git에서 작업 중인 변경사항들을 임시로 저장할 수 있는 명령어이를 통해 작업 중인 코드를 잃지 않고 다른 브랜치로 안전하게 이동하거나 급한 작업을 처리할 수 있다.✍🏻 Git Stash 사용 예시 - 언제 사용해야 할까? [상황 1] : 'feature/add'라는 브랜치에서 'add 기능 유지보수' 작업 중 새로운 기능을 급하게 추가해야 할 때. 👨🏻🔧 요청자: "마이너스 기능 추가를 해야 해. 무조건 지금, 너무 급해!"🧑🏻💻 개발자: "음... 지금 'add' 기능 수정 중인데... 하긴 기능 추가가 급하긴 하지. 근데 지금까지 ..

🫨 개발 전 확인여러 방면으로 찾아보니 Open API 요청 시 중요한 몇 가지가 있었다.요청 방법, 응답 시 데이터, 요청 URL 등 여러 가지를 공식 문서(사이트)를 통해 확인하고 개발해야 한다는 것을 알았다. 나는 API Docs(넥슨 공식 API 목록)에서 HTTP 정보들을 확인할 수 있었다.요청 정보, Reuqest, 응답 정보, Response Body 등 을 확인하였고 이를 참고하여 개발을 하려고 한다. (당황하지 않고 이해할 수 있게 해준 '김영한'님 감사합니다! (HTTP 글 보기)) 🔍 정보 정리와 프로젝트 설정 얻은 정보중 중요한 부분을 나열해 보자요청 URL : https://api.nexon.co.kr/fifaonline4/v1.0/users?nickname={nick..
😁 찾았다! 코드 내가 전혀 맨 소스부터 개발하기가 어려운 기능이라 구글링을 엄청 열심히 했던 기억이 있다. 그때 '웹 카메라 연결', '웹 카메라 기능' 등 정말 단순하게 검색했었다. 그렇게 구글링 하던 중 자바스크립트 canvas를 활용하여 개발이 완료된 코드를 확인했고 신난 나머지 바로 복+붙을 시전하였다. 😅 찾자! 코드 실제 동작을 해보니 메인화면에 버튼이 하나가 있고 [camera] 버튼 클릭 -> 노트북에 있는 캠 연결 -> [ok] 버튼 클릭 -> 화면에 [ok] 클릭 시 캡쳐된 사진확인(실시간 카메라 화면을 대체) 나는 이때 개선사항이 보였다. 현재는 [촬영 시작] 버튼 클릭 시 카메라 화면이 하나만 나왔었고. 이후 첫 [촬영] 시 카메라 기능은(실시간 카메라) 멈추고 [촬영] 버튼을 클..
🎬 새로운 프로젝트 JSP 공부 막바지 즈음 학교 동아리 단톡에 '프로젝트 참여' 톡이 올라왔고 나는 바로 참여의사를 밝혔다 프론트 1명, 백엔드 2명, 풀 스택 1명(팀장)으로 팀 구성이 완료되었다. 🧐 주제 아이디어에 주제는 학교에 전시할 작품을 선별하는데 동아리별 결과물을 심사 후 전시여부를 결정하는 것이었다. 따라서 다른 과 학생들도 참여하고 확인할 결과물을 만들어야 한 다는 것이다. (다음 글에서 아이디어 주제 정하기에 관련한 글을 작성하겠다.) 🧑🏻💻 팀원 스펙 팀원들 스펙을 참고하여 아이디어를 구상하고 정해봐야 했었다. Front end : Html, CSS, JavaScript Back end : Java, Servlet, JSP, MySQL
😊 선택의 기로 이제 혼자 다시 생각을 했어야 했다 지금 가지고 있는 지식으로 '뭐라도 만들어 보자' vs '개인공부 더 하자' 주장을 뒷 받침할 의견들은 아래와 같다. 🧑🏻💻 뭐라도 만들어 보자 1. 선배 개발자, 교수님, 주변 영상, 글들을 보면 뭐라도 만들어보는 게 좋다고 한다 2. 만들어 보면서 오류를 접하고 부딪치고 그러면서 성장한다 3. 너(나)에게 정말 큰 도움이 될 거다 4. 결과물들을 포트폴리오에도 넣을 수 있다. 📚 개인공부 더 하자 1. 너(나) 지금 인터페이스도 안 잡혀있다 심각하다 2. 오류는 실습, 개인공부 하면서도 매번 부딪치고 있고 성장하고 있다 3. 현재 가지고 있는 기술 스택으로 뭘 만들어보는게 의미가 있을까? 4. 그런 결과물을 포트폴리오에 넣는다는건 생각만 해도 얼굴..
👀 gitignore 파일이란? Git으로 관리되는 로컬 저장소에서 특정 파일이나 폴더를 Git이 추적하지 않도록 설정하는 파일이다. 쉽게 말해 "난 이 파일이 깃에 push 하고 싶지 않아" 하는 파일들을 적어놓는 파일이다. 👩🏻💻 예시 만약 커밋하지 않고 싶은 파일 이름이 "application.properties" 라면 .gitignore 파일에 다음과 같이 추가해서 커밋하지 않도록 설정할 수 있다. /application.properties 하지만 이미 깃(git)에 커밋된 이후에 설정을 했다면 .gitignore에 추가하는 것만으로는 해당 파일이 추적되는 것을 멈출 수 없다. 이 경우에는 git rm --cached (파일경로) 명령어를 사용해서 해당 파일을 로컬 저장소에서 삭제하고, 커밋 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