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목록
java (139)
[꼼꼼한 개발자] 꼼코더

🙋🏻♂️ 문제 ✅ 정답 💡 느낀 점 Claim을 사용자 정보라고만 잘 못 이해했었는데 사용자 정보 뿐만 아니라 Payload 부분에 정보 한 조각 마다 클레임이라고 부른다는 지식으로 바로 잡아서 좋다!

📣 주제 JWT의 필요성, 무엇인지, 장단점, 예제 코드 등 📄 내용 🙋🏻♂️ 추가로 확인할 내용 아래 내용이 jwt, 세션 중 어느 것의 장점인지 토큰 기반으로 다른 로그인 시스템에 접근 및 권한 공유가 가능하다. (쿠키와 차이) OAuth의 경우 Facebook, Google 등 소셜 계정을 이용하여 다른 웹서비스에서도 로그인을 할 수 있다. 세션의 저장방법이 어떤건지 서버 클라이언트 or 서버 BASE64가 무엇인지 JWT의 Claim이 정확히 무엇인지 빌더에서 compact()가 뭔지 👍🏻 느낀 점 JWT의 구조와, 구성방식에 대하여 자세히 알 수 있었다. 구현 과정에서는 Security가 필요해 보여 다음 주에 Security까지 작성하여 JWT를 한 번 더 공부해 보기로 했다. 처음이라 체계..
🏄🏻 평온한? 일상어느 날 수업을 듣던 도중 교수님께서 나에게 질문을 하셨다. 상황 1👨🏻🏫 교수님 : "Equals와 '=='의 차이점은 무엇인가요?👨🏻🎓 나(본인) : "그 하나는 주소를 비교하고 하나는 실제 값을 비교하는 거 아닌가요?"👨🏻🏫 교수님 : (Equals를 손으로 가리키시며) "이것이 뭘 비교하는 거라고요?"👨🏻🎓 나(본인) : (당황...😅)같은 날 또 다른 상황이다.상황 2😀 친구 : "그 접근제한자에 아무것도 적지 않으면 뭐지?"🧑🏻💻 나(본인) : "그 인터페이스에는 public이고 나머지는.. 음 나머지도 public 일걸?(정확히 모른다는 뜻이다..)" 찾아보니 오답이었다.. (아래 정답) 상황 1 : Equals는 (객체의) 값..

🙋🏻♂️ 문제 ✅ 정답 💡 느낀 점 기본적인 거지만 막상 물어보면 바로 나오지 않았었는데 하나씩 개념을 다시 잡아가는 재미가 있다.!

🚨 문제 발생 [피파 프로젝트] 개발 도중 이상한 현상이 일어났었다 분명 엔드 매핑 주소(첫 요청 시작 주소)가 'users'로 설정하였는데 'user'로 첫 요청을 하여도 정상적으로 동작한다는 것이었다.. (aaa, bbb, adfdagb로 해도 전부 동일하다) 따라서 코드를 확인해 보았다. 😁 코드 확인(원인 발견) 이상한 점을 눈치챘는가..!?!? 그렇다.. '{}'를 붙여 놓은 것이었다.. 이렇게 되면 '변수'로 인식하여 아무런 단어가 들어와도 처리가 돼버린다.ㅠ 🧑🏻💻 해결 수정하였다.(매우 부끄러워지는 상황 하핳..)

🐶 이전 자 DTO객체를 통하여 경기 상세 기록을 모두 가져오게 되었다. 잠깐 다른 이야기하자면 내가 백엔드 개발자를 희망한다. 그럼 내가 백엔드 개발자라고 가정하고 생각한다면 다음과 같이 생각할 것이다. 그렇다면 '이 데이터 들중에서 어느 데이터들을 어떻게 만져야 할까?' 그럼 답이 슬슬 그려진다! 아래에 정리해 보자! 경기시간 승/패 (승, 무, 패) 닉네임 득점 수 (0, 2, 1, 등) 경기종료(몰수패, 정상종료 등) 이렇게 5가지 정도 뽑아볼 수 있다. 사실 나는 컨트롤러(패드, 키보드)도 뽑고 싶었지만. 추후 프런트 개발을 깔끔하게 다듬고 아이콘, 색상등으로 표현하는 게 좋아 보여 지금은 뺐다. 그럼 이제 저 데이터를 컨트롤러로 받아오고 화면에 출력까지 해보자! 🧑🏻💻 컨트롤러와 화면 컨트롤..

🐶 이전 기능 이전에 '유저의 매치 기록' 기능 결과는 '매치 ID'가 리스트업 됐었다. 그럼 이제 '매치 ID'가 무엇을 의미하는지 알아보자 🕵🏻♀️ 공식 문서 확인 '매치 ID'를 가지고 아래 URL로 요청하면 '매치 상세 정보'를 조회할 수 있다고 확인된다. https://api.nexon.co.kr/fifaonline4/v1.0/matches/{matchid} 그럼 '매치 ID' 1개로 테스트 후 결과를 확인해 보자. ..?? 보이는가?? 상세정보.. 일부만 봤음에도 정말 엄청난 양의 데이터 종류이다..(정말로 상세하다..넥슨 👏🏻) 따라서 나는 "너무 막막하다.."라는 생각을 5초 동안 하다 정신차리고 바로 스크롤을 내려봤다. DTO..?? 그렇다 이렇게 넥슨에서 친절하게 총 '9 가지'의 D..

👉🏻 개발할 기능 오픈 API를 모두 구현하고 싶은 마음을 가지고 시작했기에 3번째 까지 완료한 나는 4번째 ('유저 고유 식별자로 유저의 매치 기록 조회') 기능을 구현하려고 한다. 요청 정보는 accessid, matchType, offset, limit가 필요하다는 걸 확인할 수 있고 반환 값은 여러 개의 '매치코드'로 이루어진 걸 확인할 수 있다. 기존처럼 저 매치코드를 글자로 변환하고 그 안에 데이터를 확인하고 한꺼번에 처리하려고 했었지만 하나씩 차근차근 개발해 나아가는 방법으로 변경하려고 한다. 우선 저 코드를 출력하게 처리해 보도록 하자! (그나저나 개발할 기능들을 보면 1번째 제외 모두 '고유 식별자'로 조회를 한다... 너무 자주 사용기 때문에 무언가 변화가 필요하다!) 아래 글 참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