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목록
java (139)
[꼼꼼한 개발자] 꼼코더
🫨 뭐부터 할 거야? 나는 어디서부터 다시 공부를 해야 할까? 고민했었다 코딩을 '요리'로 비유하자면 나는 지금 '요리사'가 되려고 하는데 '요리재료(자바언어)'에 대해 너무 무지하다고 생각이 들었다. 따라서 자바 언어를 다시 공부해야겠다고 생각을 했고 시작했다. 🫨 어떻게 할 거야? 이전에 공부 방법은 아래와 같이 하였다. 자료 : 교재 방법 : 책의 글귀 하나하나 전부 타이핑, 모든 코드 타이핑, 결과물 + 코드 한 줄 한줄 분석, 블로그 상세 정리 하지만 앞으로의 공부 방법은 아래와 같이 정했다. 자료 : 교재, 강의 방법 : 모르는 코드 분석, 블로그 가끔 정리, 공부 내용 가끔 타이핑 💬 이후(자바 공부) 그렇게 교재위주로 공부를 시작했고 봤었던 내용이라 대충 훑으는 느낌으로 공부했었다..
😊 선택의 기로 이제 혼자 다시 생각을 했어야 했다 지금 가지고 있는 지식으로 '뭐라도 만들어 보자' vs '개인공부 더 하자' 주장을 뒷 받침할 의견들은 아래와 같다. 🧑🏻💻 뭐라도 만들어 보자 1. 선배 개발자, 교수님, 주변 영상, 글들을 보면 뭐라도 만들어보는 게 좋다고 한다 2. 만들어 보면서 오류를 접하고 부딪치고 그러면서 성장한다 3. 너(나)에게 정말 큰 도움이 될 거다 4. 결과물들을 포트폴리오에도 넣을 수 있다. 📚 개인공부 더 하자 1. 너(나) 지금 인터페이스도 안 잡혀있다 심각하다 2. 오류는 실습, 개인공부 하면서도 매번 부딪치고 있고 성장하고 있다 3. 현재 가지고 있는 기술 스택으로 뭘 만들어보는게 의미가 있을까? 4. 그런 결과물을 포트폴리오에 넣는다는건 생각만 해도 얼굴..
🚀 Postman이란? API 개발 및 테스트에 사용되는 강력하고 편리한 도구이다. 🧹 내가 이해한 Postman의 장점 간단 정리 1. API 요청 항목들을 문서화하여 재확인에 용이하다. 2. 컬렉션(collection)에 사용한 API들을 모아 볼 수 있어서 따로 홈페이지에 재방문할 필요 없이 재사용하게끔 API를 만들 수 있다. 3. 요청, 응답 UI가 직관적이고 간편하다. 4. 요청시 코드에 header, body 등 정보를 담는 과정이 매우 편리하다. 👨🏻💼 포스트맨 사용시(예시) 예를 들어, 페이스북 API를 사용하여 친구 목록을 가져오는 경우 아래와 같은 순서가 있다. 1. 페이스북 개발자 웹사이트에서 애플리케이션을 등록 2. 인증키를 발급 3. 액세스 토큰을 받기. 4. 액세스 토큰을 사..
⌨️ encodeURIComponent() 함수 encodeURIComponent() 함수는 인자로 받은 문자열을 URL에 포함될 수 있는 형태로 인코딩한다. URL에는 특정 문자들이 사용될 수 없는데, 이런 문자들은 인코딩 처리를 해야 한다. 예를 들어, URL에 포함될 수 없는 공백 문자(" ")는' %20'로 인코딩 된다. 이 함수를 사용하여 입력된 입력값을 인코딩하고 URL에 파라미터로 추가하도록 응용할 수 있다. 👩🏻💻 예제 코드 Get User Info Nickname: Get Info
😊 @Autowired의 장점 코드를 간결하게 작성할 수 있다. 코드 양이 줄어들어 가독성이 좋아진다. 어노테이션을 사용하여 의존성 주입이 간편해진다 😂 @Autowired의 단점 순환참조(circular dependency)가 발생할 가능성이 있다. 어디서 어떤 의존성이 주입되는지 명확하게 파악하기 어렵다.(특히 테스트 시 더욱 부각되는 단점) 순환참조란? 간단하고 쉽게 이해하기 > https://ccomccomhan.tistory.com/143 😊 생성자 주입의 장점 순환참조(circular dependency) 방지 가능하다. 코드의 명확성과 안정성이 높아진다. 또한 컴파일 시점에 오류를 발견할 수 있어서 오류를 빠르게 수정할 수 있다. 테스트 시점에서 의존성을 주입하기가 쉬워지기 때문에 테스트 코..

🫨 순환참조(circular dependency)란? 둘 이상의 클래스나 빈(Bean)이 서로를 참조하는 상황을 의미한다. 🎥 예시 클래스 A가 클래스 B를 참조하고 클래스 B가 클래스 C를 참조하고 클래스 C가 다시 클래스 A를 참조하는 경우를 말한다. 👨🏻🏫 마무리 순환참조가 발생하면, 객체 생성 시점에서 무한루프에 빠지게 되어 프로그램이 정상적으로 동작하지 않을 수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순환참조가 발생하지 않도록 설계를 잘해야 하며 객체 간의 의존성을 최소화하고 의존성 주입 방법을 적절히 선택하여 이를 해결할 수 있다.

👀 이슈 개발 관련은 아니지만 노션으로 여러 가지를 정리하고 있는 와중 프로젝트 팀 스케줄 관리에 필요한 노션 달력 데이터베이스를 사용했고 크기를 줄이고 싶었던 나는 평소와 알던 크기조절과 다른 상황에 난감해하고 있었다 (크기 때문에 다른 내용 확인이 매우 어렵고 여러모로 불필요하게 크다고 생각이 들었다.) 👍🏻 해결방법 1. 나누기 위한 공간을 미리 만들어준다 * 1개의 공간을 2개의 공간으로 나눠준다.(빈(글) 공간 두 개를 병합(?)한다.) 2. 미리 나눈 공간에 달력을 끼워 넣어준다. 🧹 마무리 기존 컨텐츠들은 내용끼리 붙여서 공간을 나누었지만 캘린더는 단독으로 이동이 불가하여 다른 컨텐츠로 이동이 불가하여 미리 공간을 만들어 놓고 그 공간에 달력을 옮겨줬다.
🧐 MIME TYPE 이란?(Multipurpose Internet Mail Extensions) MIME TYPE은 인터넷에서 전송되는 다양한 종류의 데이터를 식별하기 위한 형식 ,주로 웹 브라우저가 웹 서버로부터 받은 데이터를 해석할 때 사용된다. 예를 들어, HTML 문서의 MIME TYPE은 "text/html"이고, JPEG 이미지의 MIME TYPE은 "image/jpeg"이다. MIME TYPE은 파일의 확장자나 내용에 따라 결정됩니다. MIME TYPE은 HTTP 헤더에서 Content-Type 등으로 지정됩니다. 🔨 웹 개발 시 MIME TYPE의 역할 MIME 유형은 웹 개발에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 MIME 유형은 서버가 클라이언트에게 전송하는 컨텐츠의 종류를 알려주는 메타데이터(me..